SA(Surgical Assistant) OS- Trigger Finger 원인 및 병태생리와 해부학 및 수술과정
OS에서 수술 중 한 가지인 Trigger Finger에 대해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.
Trigger Finger란?
손가락의 굴곡 건(힘줄)이 지니가나느 통로인 슬릿(구멍) 부분에 염증이 생기거나 협착되어 손가락이 움직이지 않거나
"딸깍"하는 소리와 함께 튕겨져 나가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.
*원인
- 반복적인 손 사용: 손가락을 자주 굽히거나 비트는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이나 활동 (타이핑, 공구 사용)
- 염증: 손가락의 굴곡 건을 감싸고 있는 건초막(tendon sheath)에 염증이 생겨 건이 통과하는 경로가 좁아짐
- 노화: 나이가 들면서 건초막이 두꺼워지고, 유연성 감소
- 건강 상태: 당뇨, 류마티스 관절염, 갑상선 질환 등이 있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
- 여성: 특히 중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음.
* 병태생리
*- 염증과 비후: 손가락의 굴곡 건은 건초막을 통해 지나가는데, 이 건초막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비후가 일어나면 건이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하고, 마찰이 발생
- 건의 비정상적인 움직임: 건초막이 좁아지면 굴곡 건이 이 경로를 지나갈 때 통증을 느끼거나, 특정 위치에서 "딸깍"하며 갑자기 튕겨 나옴
- 협착: 건초막이 협착되어 건이 지나가면서 마찰이 심해지고, 손가락을 펼 때나 구부릴 때 걸리는 느낌이 듦.
* 해부학
주로 A1 pulley와 관련이 많습니다.
FDP, FDS, A1 pulley 정도는 알아야 합니다.
*수술 과정
1) 토니켓+ EB(붕대)로 감싸서 혈액을 차단해 줍니다.
2) 스타키넷을 벗기고 알코올로 닦아주며 incision 부위를 마킹펜으로 체크합니다.
3) 아이리스, Forceps, 센 등으로 incsion부위를 벌려서 안으로 들어갑니다.
4) 프리어 등 건초막 부분이 보이게 하여 절개하며 협착된 부분을 풀어줍니다.
5) 출혈 등 발생하였다면 지혈해 줍니다.
6) 바이크릴, 나일론 등으로 봉합해 줍니다.
7) 베타딘, 알레딘, 거즈, Cotton, EB 등으로 감싸서 소독 및 압박을 시행합니다.
8) 얼음찜질 및 splint를 이용하여 수술 후 처치를 해줍니다.